EXHIBITION
2023 THEME
빛도 꿈을 꾸는가
베일벗은 플럭스
Flux Unveiled
OVERVIEW
일상에서 미디어를 분리시킬 수 없는 오늘이다. 급격하게 변화하는 디지털 매체 시대에 테크놀로지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에 대한 물음은 비단 미디어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기술미디어는 인간은 보철적 존재로 공생하고 있으며 그 리얼리티가 오늘날의 미디어 아트로 구현되고는 한다. 때문에 미디어 아트는 늘 플럭스(Flux: 끊임없는 변화) 하고 있는 것이다. 유동하고 있는 플럭스를 한 단어로 명명하기는 쉽지 않다. 그래서 미디어 아트는 완벽한 명제의 규정을 확보할 수 없는 태생적 숙명임을 자인한다. 선명할 수 없는 미디어 아트의 현실은 언제나 베일 속에 가려진 듯한 느낌이다.

Media cannot be separated from today’s everyday life. The question of how to view technology is not limited to media in an era of rapidly evolving digital media. Technological media coexists with humans as prosthetic beings, and the reality is often displayed via today's media art. For this reason, media art is always in flux. It is not easy to define the fluid state of flux in one word. Therefore, media art accepts its innate destiny of being unable to secure a perfect rule of proposition. The opaque reality of media art is as if it is always hidden behind a veil.


2023년 광주미디어아트페스티벌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미디어 아트의 베일을 벗기려 한다. <베일 벗은 플럭스(Flux Unveiled)> 섹션의 24명 작가군은 다양한 매체와 내용의 작가군으로 구성된다. 이들이 다룬 내용은 미디어라는 공통점을 제외하곤 모두 다른 방식을 취한다. 서사와 이미지의 무게 중심이 전혀 다르거나 오브제의 역할, 인터랙션의 기능 비중이 다르기도 하다. AI, 몰입형 실감 영상, AR, 메타버스 등의 기기 등을 통해 우리 신체 너머의 보이지 않는 세계를 상상하며, 미지의 영역을 탐험하는 미디어 아트 영상전이라고 할 수 있다. <베일 벗은 플럭스(Flux Unveiled)>전은 우리의 신체 너머를 전자기기를 통해 융복합적인 시각으로 새롭게 접근하는 미디어 아트 작품들을 통해 우리의 인식을 확장하는 전시라고 할 수 있다.

The 2023 Gwangju Media Art Festival seeks to unveil the flux of media art. <Flux Unveiled> showcases 24 artists from various media and content. Under the commonality of media, each artist expresses different content. The focus between the narrative and the image, or the weight between the role of the object and the function of interaction are completely different among the artists. The media art video exhibition explores the unknown realm by imagining the invisible world beyond our bodies through devices such as AI, immersive video, AR, and metaverse. <Flux Unveiled> is an exhibition that expands our perception beyond our bodies through media artworks that take novel approaches via electronic devices.

김연중, 인생 채움, 2023, 스텐리스, 황동, 엔틱오브제, 프로젝터, 싱글채널 비디오, 2분 34초
Young KIM, Filling one's Life, 2023, Stainless, Brass, Antique objet, Project, Single channel video, 2m 34s
김연중은 집을 통해 ‘인생’을 이야기한다. 인간에게 가장 중요한 거처인 집은 다양한 인종과 국가만큼이나 각기 다른 형태, 생활방식, 특색을 내포한다. 또한 집이란 공간은 역사적으로 당대 문명과 동시대 문화를 집약적으로 나타내는 표상이기도 하다. 작품에서 볼 수 있는 세 가지의 집 오브제는 다양한 모습의 건축양식을 합치고 섞는 과정을 거쳐 통합된 사회의 의미를 지니며 같은 듯 다른 형상으로 소통하며 어우러지는 사람들의 인생을 보여준다.
Young KIM discusses ‘life’ through a house. As the most important residence for humans, the house contains as many different forms, lifestyles, and characteristics as the various races and countries. The house is also an intensive historical representation of contemporary civilization and culture. The three house objects seen in the artwork show the lives of people who communicate in similar but different ways, and possess the meaning of a harmonized society through the process of combining and mixing various architectural styles.
문창환, 지오그래픽, 2023, 4채널 디지털 애니메이션, 오디오
Changhwan MOON, GEO-Graphic, 2023, 4channel digital animation, Audio
문창환은 지금까지 근미래의 환경, 생활, 천연자원이 고갈되었을 때의 대체 에너지를 연구해왔다. 작품은 충남 보령의 화력발전소를 모티브로 전국의 화력발전소에서 생성되고 있는 석탄재에서 출발한다. 재활용이 불가능한 석탄재는 시멘트 공장으로 재투입되는 다른 물질과 다르게 바다에 계속해서 매립되고 있다. 작가는 한국지질자원연구소와 협업하여 석탄재를 활용한 지오폴리머를 토대로 우리 사회가 지향하고 연구해야 할 대체 물질을 디지털 애니메이션으로 그려낸다. 감각적인 음악과 더불어 AI를 통해 생성된 이미지들은 회화성과 우연성을 가미하여 미디어아트의 내일을 선사한다.
Changhwan MOON works under the themes of urban paradigm shift, alternative urban space, and living spaces. The cement pedestal that supports the monitor is made of geopolymer, a new material created by recycling fly ash from thermal power plants. The pedestal supporting the four-channel monitor symbolizes the irony of environmentally restoring the violence that humans had inflicted on nature. <GEO-Graphic> seeks to view the overlapping movements that occur on the surface or behind the scenes of urban transformation by focusing on the cracks and frictions that occur in the process.
이지연, 얼룩무지개숲, 2021-2022, Pet필름, 특수접착제, 탄소봉, 고무링, 조명스탠딩, 나노패턴 복제기술, 3D프린팅, 330x330x500 cm
Jiyen LEE, Stain-Rainbow Forest, 2021-2022, PET film, Carbon rod, Silicon ring, LED lighting, Nanopattern replication technology, 3D printing, 330x330x500 cm
480개의 필름이 만들어내는 <얼룩 무지개 숲>은 나노 패턴 복제 기술과 알고리즘 프로그램과 같은 기술을 활용한 빛 조각 작업이다. 판화와 유사한 과정을 거치는 나노 패턴 복제 기술은 반도체 웨이퍼 원판에 각인되어 있는 나노 구조를 수작업으로 한 장씩 복제하며 진행된다. 수만 번의 복제 과정은 우연적 요소를 발생시키고 각 필름에 독특한 개별성을 부여한다.
<Stain-Rainbow Forest> is a light sculpture work created by 480 films that utilizes techniques such as nanopattern replication technology and algorithm programs. Nanopattern replication technology involves similar process as engraving and is created by manually replicating the nanostructures engraved on the semiconductor wafer disc. The tens of thousands of replications generate accidental elements and give each film a unique individuality.
염인화, 찬드라 X, 2021-2022, 3D 퍼포머티브 장치-환경
Inhwa YEOM, Chandra X, 2021-2022, 3D Performative Apparatus-Environment
<찬드라 X(Chandra X)>는 원격 네트워크 환경 속 노동 시스템을 예술적으로 진단한 연작으로 시지각적 의지와 비의지의 경계가 무력화된 상태 속 특정 행위를 반복 수행하는, 동시대의 디지털 노동 지형을 그린다. 작품은 가상-현실 네트워크와 신식민지주의적 상호작용으로 구동되는 원격 감시 시스템과 그 다층적 구조, 또 그 속에서의 인지 노동 수행 방식을 재상상한다.
<Chandra X> is a series of artistic diagnoses of the labor system in a remote network environment. It depicts the contemporary digital labor landscape where specific actions are repeated in a state where the boundary between visual perception and unwillingness is neutralized. The artwork reimagines a remote monitoring system operated by virtual-reality networks and neocolonial interactions, its multi-layered structure, and the way cognitive labor is performed within.
김세진, GATE, 2023, 오브제 설치(프로젝션 매핑), 일렉트로니카 사운드, 5분
Sejin KIM, GATE, 2023, Objet Installation (video mapping), Electronica sound, 5m
<GATE>는 이미 존재하고 있지만 인식하지 못한 새로운 세상을 보여준다. 영상 앞에 위치한 프레임 오브제는 ‘새로운 눈’을 상징하며 문 너머의 초현실적 광경을 통해 또 다른 세상과 마주하게 된다. 문 너머 영상 속 이미지는 무질서하게 혼합된 모습으로 ‘시작과 끝’, ‘무한과 유한’, ‘존재와 소멸’과 같은 양가적 요소를 보여주는데, 모든 생명은 살아가는 잠깐의 시간을 지나 다른 어떤 것으로 재배열되는 순환의 과정을 겪는다는 가정하에, 이미 가지고 있는 새로운 눈을 통해 세상과 인간 존재의 관계에 대해 다각적 접근을 유도한다.
<GATE> shows a pre-existing new world that has not been yet recognized. The frame object located in front of the video symbolizes ‘new eyes’ and faces another world through the surreal scene behind the door. The images in the video behind the door show ambivalent elements such as 'beginning and end,’ 'infinite and finite,’ and 'existence and extinction' in a chaotic mixture. By doing so, the artwork induces a multifaceted approach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ld and humans through new eyes, assuming that all lives go through a circular process of being rearranged after living for a short period of time.
염지혜, 사이보그핸드스탠더러스의 코, 2021, 싱글채널 비디오, 오디오, 19분 10초
Jihye YEOM, CyborgHandstanderus's Nose, 2021, Single channel video, Audio, 19m 10s
<사이보그핸드스탠더러스의 코> 는 기계와 동물과 식물이라는 어우러지지 않는 이종들을 아말감적으로 교접하고 융합한 사이보그 핸드스탠더러스를 그린다. 기계와 인간, 동물과, 식물이 공생하는 환경 안에서 서로에게 쓰임이 있고 융화되는 새롭고 복잡한 관계의 물음을 제시한다.
<CyborgHandstanderus’s Nose> Nose> depicts cyborg Handstanderus who amalgamically connects and fuses disparate objects of machines, animals, and plants. The artwork presents the question of a new and complex relationship of being used and harmonized in an environment where machines, humans, animals, and plants coexist.
업체, eoracle, 2022, 싱글채널 비디오, 오디오, 24분 38초
eobchae, eoracle, 2022, Single channel video, Audio, 24m 38s
업체, diktok, 2022, 싱글채널 비디오, 오디오, 반복재생
eobchae, diktok, 2022, Single channel video, Audio, Loop play
오디오-비주얼 프로덕션 콜렉티브인 업체eobchae는 다양한 프로젝트에서 김나희, 오천석, 황휘 각자의 비평적 관점을 지키며 독창적인 작업을 이어왔다. <eoracle>은 탈중앙화, 개방성, 자발성, 투명성으로 정의되는 웹 3.0이라는 주권 평등화의 네트워크 체계에 대한 물음이다. 신기술이 등장한 시대 속 존재 가능한 내일의 모습을 상상하며 나의 선택과 판단이 오롯이 나의 것이라고 할 수 있느냐에 대해 차가운 시선을 제시한다.
Eobchae is an audio-visual production collective that has continued its creative work in various projects while maintaining the critical perspectives of Nahee Kim, Cheonseok Oh, and Hui Hwang. <eoracle> is a question about the network system of sovereign equalization called Web 3.0, which is defined by decentralization, openness, spontaneity, and transparency. The artwork imagines a feasible future where new technologies have emerged and asks whether my choice and judgement are mine alone.
정혜정, 멍게-되기, 2022, VR설치, 오디오
Haejung JUNG, Becoming Sea Squirt, 2022, VR installation, Audio
멍게는 동물과 식물을 선택할 수 있고, 성별이 존재하지 않으며 유성생식, 무성생식이 가능한 독특한 특성을 가진다. VR 기기를 쓰고 서 있을 때는 유생일 때의 멍게가 되어 바다를 유영하다가, 앉으면 식물화되는 장면으로 화면이 전환되며 뿌리를 내리고 전기신호와 소리로 감각하는 멍게 성체가 되는 경험을 하게 된다. 무한 상영되는 VR 매체의 구조 안에서 관객은 ‘멍게’라는 새로운 신체를 부여받고, 신체의 경계에 대한 관념을 재고하기를 제안한다.
Sea squirts are unique in that they can choose to be either an animal or plant, have no gender, and can reproduce sexually and asexually. While wearing the VR device, the audience becomes a sea squirt larva swimming in the sea. When the audience sits down, the screen transitions to a scene where the audience can experience becoming an adult sea squirt taking root like a plant that senses electrical signals and sounds. Within the structure of infinitely screened VR media, the audience is allowed a new body as a 'sea squirt’ and is proposed to reconsider the boundaries of the body.
치명타, 실바니안 패밀리즘, 2019, 싱글채널 5개 에피소드, 오디오, 31분 55초
Critical Hit, Sylvanian Familism, 2019, Single channel video with 5 Episodes, Audio, 31m 55s
‘실바니안 패밀리’는 일반적인 아버지, 어머니, 아들, 딸로 구성된 가족만이 존재한다. 치명타의 <실바니안 패밀리즘>은 그들에게 ‘아무 성이나 입어도 상관없는 옷’을 만들어 입히고 HIV 양성 여성의 삶과 탈시설을 쟁취하는 장애인의 삶, 국가폭력에 굴하지 않는 생존자의 삶을 부여한다. 그 속에서 소수자의 삶을 소환하여 다양한 배경과 속성을 드러낸다. 이들은 사회가 규정하는 울타리를 넘어 서로의 일상을 지키는 단단하고 다정한 연대의 모습을 표현한다.
'Sylvanian Families' only exist in families that consist of a normal father, mother, son, and daughter. Critical Hit’s <Sylvanian Familism> dresses them in cloths that are gender neutral, gives them the life of an HIV-positive woman, the life of a disabled person who fights for de-institutionalization, and the life of a survivor who does not surrender to state violence. In doing so, the artwork summons the lives of minorities and reveals various backgrounds and attributes. They express a strong and affectionate solidarity that protects each other’s daily lives beyond the fences defined by society.
박상화, 소멸하는 풍경, 2023, 수제필름스크린, 2채널비디오, 오디오
Sanghwa PARK, vanishing landscape, 2023, Custom film screen, 2channel video, Audio
전쟁과 질병, 기후 위기 등으로 위기를 맞이한 현재의 인류는 이제 곧 소멸의 시간을 경험하게 되지 않을까? <vanishing landscape>은 10개의 필름 스크린과 영상으로 구현된 가상의 풍경이다. 필름 스크린은 관객 감지에 의해 다양한 풍경으로 변화한다. 관객은 자유롭게 풍경 사이를 다니며 인류와 문명이 사라져 버린 소멸 이후의 미래 풍경을 상상해 보고 소멸의 과정과 방법을 생각하게 한다.
Would the current humankind face extinction due to war, disease, and climate crisis? <vanishing landscape> is a virtual landscape composed of 10 film screens and videos. The film screen changes into various landscapes by sensing the audience. The audience moves freely among the landscapes, imagining the future landscape post the extinction of humans and civilization, and thinking about the process and method of extinction.
진기종, 세계시체지도, 2004, 영상설치, 라인트레이서, 무선카메라, 라이트판넬/필름
Kijong ZIN, World map of corpse, 2004, Video Installation, Line Tracer, Wireless Camera, Light Panel/Film
전쟁의 역사이기도 한 우리의 역사는 약육강식의 법칙하에 연속되고 반복된다. <세계 시체 지도>는 지도상에 누워있는 시체들을 통해 극단적인 풍경으로 재배치한 지도이기도 하다. 지도 위를 맴도는 붉은색 핏방울 이미지는 전사한 전우를 찾아 움직이며 작품 가운데에 위치한 모션 캡쳐 카메라는 관람객의 이미지를 전송하여 시체로 재구성한다.
Our history, which is also the history of war, continues and repeats under the law of the jungle. <World map of corpse> is a map rearranged into an extreme landscape through corpses lying on the map. The red blood drop image hovering over the map moves in search of fallen comrades, and the motion capture camera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artwork transmits the audience’s image and reconstructs it into a corpse.
방우송, 혼돈-채집, 2023, 철, 싱글채널 비디오, 오디오, 4분 3초
Woosong BANG, Chaose-Collection, 2023, Steel, Single channel video, Audio, 4m 3s
작가는 21세기에 들어 점차 늘어나고 있는 군집 붕괴 현상의 하나로 세계 곳곳에서 관찰되고 있는 꿀벌 실종사건에 집중한다. 꿀벌이 사라지는 작은 사건으로 식물과 동물이 사라지고, 마지막으로 인간이 사라질 것이라는 경고가 정말로 현실이 될 수도 있는 작은 사건을 환경의 문제에 초점을 맞춰 시각화하였다. 환경문제가 미래의 우리 자신과 후손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작품을 통해서 조명하고자 한다.
The artist focuses on the disappearance of honeybees observed around the world as one of the increasingly common phenomenon of colony collapses in the 21st century. The artwork visualizes a small event focusing on environmental issues, in which the disappearance of honeybees lead to the disappearance of plants and animals and ultimately the possible disappearance of humans. The artwork sheds light on how environmental problems will affect humans and their descendants in the future.
한승구, 가상에 취하다-메타버스, 2021, 유니티, C4D, PS
Seungku HAN, Fall in Virtual-metaverse, 2021, Unity, C4D, PS
한승구, MirrorMask #C begins, 2022, C4D, PS, AE, 2분 30초
Seungku HAN, MirrorMask #C begins, 2022, C4D, PS, AE, 2m 30s
<가상에 취하다>는 작가가 15년간 제작한 조각, 미디어, 영상, 키네틱 중 10점을 선택하여 온라인(실감형 컨텐츠)으로 재매개된 작품(어플리케이션)이다. 본 프로젝트는 시민들에게 자연, 여행, 문화를 즐기면서 우울한 감정을 힐링시켜 주고자 한다. 특히 여행, 자연, 문화생활을 즐기지 못하는 결여의 감정을 게임형식으로 충족시켜주는 것이 목적이다. 관람자들은 가상공간에서 본인의 캐릭터를 조작하여 여행하면서 작품을 즐기는 동시에 체험할 수 있다.
<Fall in Virtual> is an artwork (application) that has been remediated online (realistic content) by selecting 10 artwork from the sculptures, media, videos, and kinetics that the artist has created over the past 15 years. This project aims to heal the audience’s depressed feelings by enjoying nature, travel, and culture. Through a game format, the artwork seeks to satisfy the audience’s lack of satisfaction from being unable to enjoy travel, nature, and cultural life. The audience can enjoy and experience the artwork while traveling through their own characters in the virtual space.
민찬욱, 디지털 휴먼은 무엇인가?, 2022, 2채널 비디오, 오디오, 55분 11초
Chanwook MIN, What is Digital Human, 2022, 2channel Video, Audio, 55m 11s
<디지털 휴먼은 무엇인가?>는 인간과 디지털 휴먼이 질문과 답변을 하는 형식으로 디지털 휴먼에 대한 100개의 질문이 오고 간다. 서로 마주본 두 스크린 속에는 촬영된 휴먼이 질문을 던지고 디지털 휴먼이 답변을 한다. 주어진 역할을 다한 디지털 휴먼은 쓰러지고 다시 생성됨을 반복한다. 생성과 소멸의 반복을 바라보며 앞으로 다가올 미래를 고민케 한다.
<What is a Digital Human> takes the form of 100 questions and answers about digital humans between humans and digital humans. On the two screens facing each other, a filmed human asks questions and a digital human answers. The digital human that has fulfilled its given role collapses and is recreated repeatedly. Through the repetition of creation and extinction, the artwork makes us ponder about the future to come.
안가영, 헤르메스의 상자, 2018, 인터랙티브 비디오게임 인스톨레이션(유니티 엔진), 싱글채널 비디오, 커스텀 조이스틱, 플레이타임 20-30분
Gayoung AN, THE HERMES'S BOX, 2018, Interactive video game installation(Using unity engine), Single channel video, Custom joystick, Playtime 20-30m
그리스 신화 속에서 메신저 역할을 하는 신 헤르메스는 날개달린 신을 신고 '제우스'의 명령을 의심없이 따르고 전달한다. 게임 <헤르메스의 상자>에서 헤르메스는 일탈을 경험한다. 관객들은 택배 상자를 든 헤르메스가 되어 두 가지 길을 선택할 수 있다. 탐색과 인내를 통하여 도달한 끝에 결국 택배 상자가 열린다. 상자 속 텍스트는 우리가 갈망하는 진실이 과연 진정으로 진실된 정보인가에 대한 질문이다.
Hermes, with his winged sandals, was a herald of the gods in Greek mythology that follows and delivers the orders of 'Zeus' without question. In the game <The Hermes’ Box>, Hermes breaks away from his routine. The audience is in Hermes’ shoes, holding a delivery box and can choose between two paths. After reaching the end through search and perseverance, the delivery box is eventually opened. The text in the box is a question about whether the truth we search for is really true.
안정주, 전소정, 기계 속의 유령, 2021, 싱글채널 비디오, 오디오, 20분 10초
Jungju AN, Sojung JUN, The Ghost in the Machine, 2021, Single channel video, Audio, 20m 10s
안정주는 대중매체, 일상에서 채집한 사운드와 이미지를 변형하고 분절하며 독자적인 서사구조를 지닌 영상작업을 전시했다. 전소정은 비선형적 시공간을 통해 일상의 감각과 인식을 재고하는 작업을 이어왔다. 두 작가는 p.2라는 그룹으로 공동작업을 진행하기도 하였다. 이번 전시에 출품한 <기계 속의 유령>은 팬데믹 당시 제작된 작품으로 이동과 접촉이 제한된 상황에서 작품마저 데이터로 전송되는 상황을 구축하여 현재 우리가 직면한 문제를 재생산하는 사유의 기계로 전시 공간의 가능성을 재편한다.
Jungju AN exhibited video works with a unique narrative structure that transforms and segments sounds and images collected from mass media and daily life. Sojung JUNG has continued work that reconsiders daily senses and perceptions through nonlinear time and space. The two artists had also collaborated in a group named p.2. <The Ghost in the Machine> was produced during the pandemic, and creates a situation where even artwork is tranmitted as data amid restricted movement and contact. In doing so, the artwork reorganizes the exhibition space as a machine of thought that reproduces the problems we face today.
김명우, outlook, 2023, 싱글채널 비디오, 오디오, 4분 30초
Myoungwoo KIM, outlook, 2023, Single channel video, Audio, 4m 30s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의 신체 부위는 작가의 의도에 따라 편집되어 송출된다. 정보의 접근이 용이해진 현대 사회에서 김명우 작가는 우리가 쉽게 접하는 정보들이 사실상 거짓된 정보와 날조된 사실들로 우리의 시야를 제한하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에서 기인한 작업이다. 그릇된 가치관, 잘못된 정보를 지각없이 받아들이고 있는 동시대 현대인들이 마주한 공통된 경험에 물음을 제기한다.
The body parts of the characters appearing in this artwork are edited and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artist. Myungwoo KIM's artwork stems from the anxiety that easily obtainable information in today’s society may actually be limiting our perspective through false information and fabricated facts. The artwork questions contemporary people’s common experiences of readily accepting incorrect values and information.
김우진, 유령과 바다, 그리고 뫼비우스, 2022, 2채널 비디오, 오디오, 8분 59초
Woojin KIM, The Ghost, Sea and Möbius Loop, 2022, 2channel video, Audio, 8m 59s
김우진은 사회의 관찰자로서 개인에게 은밀하게 작동하는 사회의 방식에 드러낸다. 그간 메모리즈 프로젝트를 통해 언어를 프레임을 만들거나 고착시키는 장치로 보고, 사라지는 언어와 관련된 사회, 개인들의 기억과 이미지를 수집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유령과 바다, 그리고 뫼비우스>는 이에서 확장하여 디지털 세계로 눈을 돌린다. 다르지만 유사한 이들의 이야기를 연결하여 우리가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 놓치고 있는 것들을 비판적 시각으로 제시한다.
As an observer of society, Woojin KIM reveals the ways that the society secretly operates on individuals. Through the Memories Project, KIM had viewed language as a device that creates or fixes frames and had conducted a project to collect memories and images of society and individuals related to disappearing languages. <The Ghost, Sea, and Möbius Loop> expands on this and turns the focus to the digital world. By connecting the stories of different but similar people, the artwork critically proposes things that we are unconciously missing.
박경근, 호랑이 담배 피던 시절, 2021, 싱글채널 비디오, 6분
Kelvin Kyungkun PARK, When Tigers Used to Smoke, 2021, Single channel, 6m
<호랑이 담배 피던 시절>은 팬데믹 중 텅 빈 서울의 한 동물원에서 촬영되었다. 문명이 중단된 상황은 인간과 야생동물을 생명체라는 동일 선상에서 놓고 바라볼 수 있는 가능성을 열고, 이들의 지각 경계를 탐구하게 만든다. 동물원에서 촬영된 호랑이의 영상은 비디오 신호를 알리는 웨이브폼 모니터(영상의 색상 및 조명 정보를 조정하는 전문가용 모니터)의 이미지와 중첩되는데 이때 영상과 영상의 정보의 동시성과 부조화는 다층적 이미지를 생성한다.
<When Tigers Used to Smoke> was filmed in an empty zoo in Seoul during the pandemic. The temporary halt of civilization opens the opportunity to view humans and wild animals from the same line and explore the bounderies of their perception. The video of the tiger filmed in the zoo is overlapped with the image of a waveform monitor (a professional monitor that adjusts the color and lighting information of the video) and produces a multi-layered image of the simultaneity and incongruity of the video and the information of the video.
이영주, 리자디언들, 2021, 싱글채널 비디오, 오디오, 25분 12초
Youngjoo LEE, LIZARDIANS, 2021, Single channel video, Audio, 25m 12s
리자디언들은 도마뱀과 인간의 합성어로 자신의 팔다리를 재생하여 판매하는 사람들을 일컫는다. ‘공장 노동자들이 자신이 생산한 자신의 몸의 일부분이 가게에 진열된 것을 보는 느낌은 어떨까? ‘라는 물음에서 출발한 작업은 대기업에 영향을 받는 동시대 현대인들 사이에서 개인의 책임, 도덕성, 기업과 개인의 보이지 않는 권력관계를 잠재하고 있다.
Lizardian is a compounded word between lizard and human, and refers to people who regenerate and sell their limbs. The artwork began with the question ‘How would it feel for factory workers to see parts of their own bodies that they produced being displayed in a store?’ and implies each person’s responsibility, morality, and the invisible power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ions and individuals among contemporaries who are influenced by large corporations.
임용현, 무한의 지평선, 2023, 싱글채널 비디오, 오디오, 3분 30초
Yonghyun LIM, Infinite Horizons, 2023, Single channel video, Audio, 3m 30s
우리 주변의 에너지와 우리의 존재 그리고 그것들이 공존하며 만들어내는 생명과 일련의 우주 체계의 상호작용이 만들어내는 아름다움은 경이로움을 감출 수 없다. <무한의 지평선>은 우리가 공유하고 있는 세계와 우리를 포함한 자연의 세계와의 더 깊은 연결성을 증폭시키고자 한다
It is difficult to contain the wonder behind the beauty created by the energy around us, our existence, the life created through the coexistence, and the interaction of a series of cosmic systems. <Infinite Horizons> seeks to amplify our connection with the world we share and the world of nature that includes us.
염지혜, 에이아이 옥토퍼스, 2020, 싱글채널 비디오, 오디오, 16분 35초
Jihye YEOM, AI Octopus, 2020, Single channel video, Audio, 16m 35s
<에이아이 옥토퍼스>에서 에이아이는 Alternative(대안적인)의 의미를 뜻한다. 이 작품은 문어의 지능이 더욱 진화하여 그들만의 문공지능(문어가 만든 문어를 닮은 지능)을 만들고 우리가 사는 시간과 공간을 방문한다면, 그들이 우리에게 무엇을 이야기해 줄 수 있을지 살펴본다. 만약 인간종이 무척추동물인 문어에게서 촉수적인 예민함, 생체적 공감 능력 그리고 그들의 지혜를 배울 수 있다면, 인간, 이성, 뇌, 자아, 대륙 중심적 사고에서 비롯되어 현재까지 이어지는 수많은 아픔을 다르게 느낄 수 있지 않을까.
AI in <AI Octopus> means Alternative. This artwork explores what octopuses could tell us if their intelligence further evolved to create their own Mungong intelligence (an intelligence created by octopuses that resembles an octopus) and they visit us in our time and space. If humans can learn tentacle sensitivity, biological empathy, and wisdom from an invertebrate octopus, wouldn't it be possible to differently feel the numerous pains that stem from human, reason, brain, ego, and continent-centric thinking that continue to this day?
남민오, 로켓시퀀스 #1 신호, 2023, 3채널 비디오, 오디오, 36분
MinOhrichar, Rocket Sequence #1 Signal, 2023, 3channel Video, Audio, 36m
<로켓시퀀스> 중 Signal: *Center Point는 우주를 뒤적거려 나타난 소실점의 끝을 바라보게 한다. 작가는 그래픽 프로그램(어도비 포토샵)에서 아주 작은 픽셀만 선택될 때까지 반복하는 과정을 드러내며 머신 러닝과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유희를 보여주는 동시에 우주를 뒤적거려 의미를 발굴하고자 하는 인간을 다시 돌아보게 한다.
In <Rocket Sequence>, Signal: *Center Point observes the end of the vanishing point that appeared after scrambling through the universe. The artist reveals the repetitive process of selecting only the smallest pixel in a graphic program (Adobe Photoshop), showing a play on machine learn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while simultanously re-examining humans who try to discover meaning by scrambling through the universe.
오민, 참석자, 2019, 시간기반설치, 2채널 비디오, 4채널 오디오, 20분 18초
Mon OH, Attendee, 2019, Time based installation, 2channel video, 4channel audio, 20m 18s
<참석자>는 들리지 않는 소리를 듣기 위한 방안으로 봄으로써 들을 수 있는 소리의 가능성을 탐구하고 시간적 연주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보이지 않는 진동에서 보이는 진동으로 재료를 확장한다는 가정 아래 동시대 음악에서 흐릿해진 보편적 감각으로 시각으로 보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내포한다.
<Attendee> explores the possibility of visual sound as a means to hear inaudible sound and suggests the possibility of temporal performance. The artwork implies the possibility that vision can supplement the blurred universal sense in contemporary music under the assumption of expanding the material from invisible vibrations to visible vibrations.
김자이, 휴식의 기술-벌들의 춤, 2023
Jayi KIM, Skill of rest & relaxation-Dancing of Bees, 2023
식물의 수정을 담당하는 벌의 멸종 위기는 식량의 문제이자 우리의 문제이기도 하다. 배경 속의 철자들은 염기인 아데닌, 구아닌, 시토신, 티민을 상징한다. 철자의 순서는 꿀벌의 단백질 구성요소가 될 텍스트다. 꿀벌은 여기 적힌 유전자 조각에 의거해 인두샘에서 로열젤리 성분을 만들어낸다. 작가는 작품을 통해 자연과의 공존과 우리의 파괴를 다시 떠올리게 하며 숨겨두었던 우리 모두의 문제를 다시 직면케 한다.
The extinction of bees that are in charge of plant fertilization is both a food problem and our problem. The letters in the background represent adenine, guanine, cytosine and thymine. The sequence of letters forms the text that will become the building blocks of protein for bees. Honey bees produce royal jelly in their pharyngeal glands based on the gene fragments listed here. The artist reminds us, through the artwork, of our coexistence with and destruction of nature, and makes us confront the hidden problems.